Monday, January 30, 2023
한얼연구소 - Korea Han Eol Institute
  • 홈
  • 한얼연구소
    • All
    • 설립자 인사말
    • 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구소 연혁
    • 오시는 길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한얼 역사관, 한얼 정신의 회복

    설립자 인사말

    설립자 인사말

    한얼연구소 소개

    한얼연구소 소개

    한얼연구소 연혁

    한얼연구소 연혁

    오시는 길

    오시는 길

    ‘홍익 상생 자존의 한얼펴기’ 실천강령

    • 설립자 인사말
    • 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구소 연혁
    • 오시는 길
  • 한얼역사관
    • All
    • 왜 고조선인가?
    • 환단고기란?
    •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기조강연-왜 고조선인가? 한겨레 역사의 외연을 넓힌 학자들

    방탄소년단과 고조선

    • 왜 고조선인가?
    • 환단고기란?
    •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 한얼 학술대회
    • All
    •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 제 24차 한얼학술대회 (대체)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자료집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Los Angeles/ 서울 동시 랜선 세미나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논평-고대 한류로서 고조선 복식문화의 국제적 위상

    강의 자료-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논평-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강의자료-고대 한류로서 고조선 복식문화의 국제적 위상

    강의 자료-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강의 자료-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기조강연-왜 고조선인가? 한겨레 역사의 외연을 넓힌 학자들

    기조강연-왜 고조선인가? 한겨레 역사의 외연을 넓힌 학자들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일정표

    •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 한사상과 유불선기
  • 한의학과 천부경
  • 한얼 두레
    • All
    • 각종 행사 사진
    • 학술대회 사진

    4353주년 개천제 봉행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 사이먼 김 소장 칼럼
    • 언론 속의 한얼연구소
    • 한얼연구소 게시판
    • 갤러리
      • 학술대회 사진
      • 각종 행사 사진
      • 강의 동영상
      • 양생체조 동영상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한얼연구소
    • All
    • 설립자 인사말
    • 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구소 연혁
    • 오시는 길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한얼 역사관, 한얼 정신의 회복

    설립자 인사말

    설립자 인사말

    한얼연구소 소개

    한얼연구소 소개

    한얼연구소 연혁

    한얼연구소 연혁

    오시는 길

    오시는 길

    ‘홍익 상생 자존의 한얼펴기’ 실천강령

    • 설립자 인사말
    • 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구소 연혁
    • 오시는 길
  • 한얼역사관
    • All
    • 왜 고조선인가?
    • 환단고기란?
    •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기조강연-왜 고조선인가? 한겨레 역사의 외연을 넓힌 학자들

    방탄소년단과 고조선

    • 왜 고조선인가?
    • 환단고기란?
    •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한얼사상적 구조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훈민정음의 탄생배경

  • 한얼 학술대회
    • All
    •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 제 24차 한얼학술대회 (대체)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자료집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Los Angeles/ 서울 동시 랜선 세미나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논평-고대 한류로서 고조선 복식문화의 국제적 위상

    강의 자료-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논평-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강의자료-고대 한류로서 고조선 복식문화의 국제적 위상

    강의 자료-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강의 자료-고조선문명의 탄생과 인류 최초 5대문명에서의 위상

    기조강연-왜 고조선인가? 한겨레 역사의 외연을 넓힌 학자들

    기조강연-왜 고조선인가? 한겨레 역사의 외연을 넓힌 학자들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일정표

    •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 한사상과 유불선기
  • 한의학과 천부경
  • 한얼 두레
    • All
    • 각종 행사 사진
    • 학술대회 사진

    4353주년 개천제 봉행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사진

    • 사이먼 김 소장 칼럼
    • 언론 속의 한얼연구소
    • 한얼연구소 게시판
    • 갤러리
      • 학술대회 사진
      • 각종 행사 사진
      • 강의 동영상
      • 양생체조 동영상
No Result
View All Result
한얼 연구소
No Result
View All Result
Home 한의학과 천부경 한얼연구소 설립자 인사말

설립자 인사말

Administrator by Administrator
February 20, 2020
in 설립자 인사말, 한얼연구소
0
설립자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한얼연구소 설립자 박준환 이사장입니다. 저희 한얼연구소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얼’의 말 뜻을 알면 한얼연구소가 왜 출범되었는지, 어떤 일을 하는지 알 수 있을까하여 한얼의 뜻을 풀이해봅니다. 우리나라의 명칭은 대한민국입니다. 나라는 ‘한국’, 한국이라는 나라에 사는 사람들은 ‘한겨레’, 나라사람들이 쓰는 문자는 ‘한글’, 그리고 대한인의 정신은 ‘한얼’입니다. 한얼의 사전적 의미에는 ‘단군’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세계 어디에 살든 단군의 후예인 한국인으로서 자기정체성을 자각하고 사는 사람들의 정신이 ‘한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얼’은 곧 우주를 뜻합니다. 한얼님은 대종교에서 이르는 단군 하느님입니다. 어찌보면 환인, 환웅, 단군의 삼신사상을 가진 천손족으로서 한얼우주를 품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사람의 신성을 ‘인내천’이라고 일컫는 동학의 요체는 바로 우리 인간 개개인에 하느님의 얼, 단군의 얼이 살아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서학의 대표 격인 기독교와 이슬람의 신관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한얼 연구소가 표방하는 한얼이 꼭 어떤 종교적 의미만을 갖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말 ‘한’은 ‘크다’ ‘전체로서의 하나’ ‘하늘’이라는 의미를 모두 포함합니다. 이에 ‘님’을 붙여 ‘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전통적으로 우리 조상들은 상제(上帝)로 일컫는 하늘님을 섬겨 왔으며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하나님’ ‘하느님’이라는 말이 기독교의 신을 나타내는 고유명사로 전용되었습니다다. 하느님이란 개념을 어떤 특정 종교에 가두어 둘 필요는 없습니다.

  ‘하나님’은 유일신이라는 뜻을 덧붙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닙니다. 다석 류영모 선생은 유불선기 사교회통을 평생의 화두로 삼고, 우리의 한얼 정신을 발휘하여 ‘없이 계신 하느님’이라는 엄청난 신관을 정립한 바 있습니다. 신정일은 1965년 ‘한얼교’와 ‘한얼 사상연구회’를 세웠고, 최민홍은 ‘한사상 연구원’을 통해 위대한 한얼 정신의 회복을 주장했습니다.

  우랄 알타이어 계의 공통 언어인 칸(Khan)은 ‘크고 위대한 하나로서 만유를 포용함’으로 일즉다의 원리입니다. ‘하나이면서 뭇 만물이다’라는 어찌 보면 역설적인 표현은 우리 몸의 각 세포마다 동일한 유전자가 각인되어있다는 과학적 사실로도 증명됩니다. 나의 한얼은 결국 아버지, 할아버지 , 우리 조상의 뿌리인 단군의 얼로부터 이어져 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얼의 일상적 의미는 곧 한국인의 고유 정신, 큰 정신, 위대한 정신, 긍정과 포용을 통해 하나로 결집되는 같은 정신 (大一同)을 뜻합니다. 이러한 한얼 정신으로 홍익, 상생, 자존의 정신을 펼쳐나가 우리가 딛고사는미국 땅 코리안 아메리칸의 현실에 충실하고자 하는 것이 한얼펴기 운동입니다. 그간 사용해온 ‘한사상 연구소’의 한이란 형용어에  얼이 빠져 있어 한얼로 개칭한 것입니다.

  더 많은 분들과 함께 ‘한얼’정신에 대해 공유하고 함께 했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 한얼연구소 웹사이트를 개설합니다.

 

2020년 2월 4일 경자년 입춘지절에 

한얼연구소 이사장 박 준환 (사우수 배일로 한의대 이사장, 캘 유엠에스 경영과학대 이사장)

 

 

 

 

 

Tags: 설립자 인사말한얼연구소
Advertisement Banner
Previous Post

한얼연구소 소개

Next Post

강의자료-『 사고전서 』 통해 다시 찾은 위대한 한민족의 역사

Administrator

Administrator

Next Post

강의자료-『 사고전서 』 통해 다시 찾은 위대한 한민족의 역사

Discussion about this post

Recommended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논평-고대 한류로서 고조선 복식문화의 국제적 위상

3 years ago
강의자료-고구려 패러다임으로 역사의 단절을 잇자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인사말

3 years ago

Don't Miss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December 2, 2021

4353주년 개천제 봉행

February 25, 2021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자료집

November 19, 2020

제 23차 한얼학술대회 Los Angeles/ 서울 동시 랜선 세미나

November 2, 2020
한얼연구소 – Korea Han Eol Institute

한얼연구소는 미주 한인사회에서 유일하게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기위한 여러 운동들을 지속적으로 전개해온 비영리 단체다. 금년에 창립 23년 차인 한얼연구소는 2017년 8월 88세 미수를 맞아 <내얼은 한얼이다>라는 회고록을 낸 사우수 배일로 (思優秀 培一路) 대학 한얼연구소 이사장 박준환 박사의 전폭적 지원으로 한얼펴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Recent News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얼시무시얼 천부경 자연철학 삼일원리

December 2, 2021

4353주년 개천제 봉행

February 25, 2021

위치

Click to open a larger map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한얼연구소
    • 설립자 인사말
    • 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구소 연혁
    • 오시는 길
  • 한얼역사관
    • 왜 고조선인가?
    • 환단고기란?
    • 훈민정음
  • 한얼 학술대회
    • 제 19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0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1차 한얼 학술대회
    • 제 22차 한얼 학술대회
  • 한사상과 유불선기
  • 한의학과 천부경
  • 한얼 두레
    • 사이먼 김 소장 칼럼
    • 언론 속의 한얼연구소
    • 한얼연구소 게시판
    • 갤러리
      • 학술대회 사진
      • 각종 행사 사진
      • 강의 동영상
      • 양생체조 동영상

© 2020 한얼연구소

Login to your account below

Forgotten Password?

Fill the forms bellow to register

All fields are required. Log In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